한국인 최초,
아시아인 최초,
2024년 10월 10일,
한강 작가가 받은 노벨 문학상은 어떤 상인지 갑자기 궁금해져 알아 보려고 합니다.
그 동안, 나와(?) 거리가 먼 얘기일 때는,
세계에서 인정해 주는 명성 높은 상이겠지.
받으면 대단한 상이겠지.
정도 생각해 왔는데, 이제 우리 얘기가 되니 자세히 알고 싶어 지네요.
✅1차원 적인 질문으로, '노벨 문학상'은 어떤 상일까요?
노벨문학상은 스웨덴 학술원에서 매년 수여하는 세계적으로 가장 권위 있는 문학상입니다. 알프레드 노벨의 유언에 따라 1901년부터 시작되었으며,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:
1.수상 기준
- 인류에게 가장 탁월한 이상주의적 경향의 문학 작품을 쓴 작가에게 수여
- 특정 작품보다는 작가의 전체 문학적 업적을 평가
- 장르에 제한이 없어 시, 소설, 희곡, 산문 등 모든 문학 형식 포함
2.선정 과정
- 스웨덴 학술원 위원들이 심사
- 전 세계 문학 전문가들의 추천을 받음
- 약 1년에 걸친 엄격한 심사 과정
3.수상 혜택
- 상금(약 1000만 크로나, 한화 약 13억 원 정도)
- 노벨 메달
- 상장
4.의의
- 세계 문학계에서 가장 큰 영예
- 수상 작가의 작품이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게 됨
- 다양한 문화권의 문학적 성취를 인정하고 알리는 역할
한국 작가 중에서는 2000년대 이후 고은, 황석영, 김혜순 등이 수상 후보로 거론된 바 있으나, 이 중에서 수상자는 나오지 않았습니다.
✅노벨 문학상의 심사위원들은 어떤 사람들일까요?
노벨문학상의 심사는 스웨덴 학술원(Swedish Academy) 회원들이 담당하며,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:
1.구성
- 총 18명의 종신 회원으로 구성
- '18인 의자'(De Aderton)라고도 불림
- 스웨덴의 저명한 작가, 문학 연구자, 언어학자, 역사학자 등 문학/인문학 전문가들로 구성
2.선출 방식
- 새로운 회원은 기존 회원들의 투표로 선출
- 공석이 생길 경우에만 새 회원 선출 가능
- 사퇴나 제명이 없는 한 종신직
3.심사 과정
- 매년 2월까지 전 세계 추천위원들로부터 후보 추천을 받음
- 노벨위원회(5-6명으로 구성)에서 후보 검토
- 여름까지 후보 목록을 5명 정도로 압축
- 가을에 전체 회원 투표로 수상자 결정
-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최종 선정
4.특징
- 심사 과정과 후보자 명단은 50년간 비공개
- 정치적, 이념적 중립성 유지 노력
- 다양한 언어권과 문화권을 고려하려 노력
5.과거 논란
- 유럽 중심적이라는 비판
- 성별 불균형 문제
- 2018년 미투운동 관련 스캔들로 그해 시상 연기
이러한 구조는 심사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지만, 동시에 보수적이고 폐쇄적일 수 있다는 지적도 있습니다.
✅그렇다면, 알프레드 노벨은 어떤 사람이길래 이렇게 지금까지 그 명성이 유지되는 상을 만들었을까?
알프레드 노벨(1833-1896)은 스웨덴의 화학자이자 발명가, 사업가였습니다. 그의 주요 이력과 특징을 살펴보면:
- 주요 발명품과 업적
- 다이너마이트 발명 (1867년)
- 젤라틴 다이너마이트, 무연화약 등 약 355개의 특허 보유
- 폭발물의 안전한 산업적 활용을 위해 노력
2.사업가로서의 활동
- 전 세계 90여 개의 공장 운영
- 당시 세계 최대 규모의 군수산업체 경영
- 석유 사업에도 진출해 성공
3.개인적 특징
- 여러 언어에 능통
- 문학과 시 창작을 즐김
- 평생 결혼하지 않음
- 발명과 연구에 대한 강한 열정
4.노벨상 제정 배경
- 1888년 동생 사망 시 신문사가 실수로 알프레드의 부고를 실음
- "죽음의 상인 사망"이라는 헤드라인을 보고 큰 충격
- 자신의 유산이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쓰이길 희망
- 유언으로 노벨상 제정을 지시
5.유산 활용
- 재산의 대부분을 노벨상 기금으로 출연
- 물리학, 화학, 생리학/의학, 문학, 평화 5개 분야 선정
- 1968년 경제학상 추가
6.노벨의 아이러니
- 전쟁 무기를 만들어 부를 축적
- 그 돈으로 평화상을 포함한 인류 공헌 시상 제정
- 발명이 전쟁에 쓰일 것을 우려해 평생 고민
노벨의 삶은 과학 기술의 발전이 가져올 수 있는 양면성을 잘 보여주는 사례이며, 그의 유산은 지금까지도 인류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
✅그럼, 노벨문학상을 받은 대표적인 작가들을 알아보겠습니다.
현재('24년 11월)까지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는 총 119명이며(한강 포함), 대표적인 수상자 명단은 아래와 같습니다.
- 톨스토이 (1901년) - 러시아의 소설가이자 사상가. '전쟁과 평화', '안나 카레니나' 등의 작품으로 유명합니다.
- 루돌프 유킬리크 (1908년) - 오스트리아의 서정시인. 주요 작품으로는 '하늘로 향하는 길', '이별의 노래' 등이 있습니다.
- 싱클레어 루이스 (1930년) - 미국의 소설가. '주욱', '배너밭' 등의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.
- 윌리엄 포크너 (1949년) - 미국의 소설가. '살인자의 노래', '누가 벨을 울리나' 등이 대표작입니다.
-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(1982년) - 콜롬비아의 소설가. '백년의 고독', '사랑에 관한 일백 년' 등의 작품으로 유명합니다.
- 토마스 만 (1929년) - 독일의 소설가. '부덴브로크 가', '마의 산' 등이 대표작입니다.
- 오에 겐자부로 (1994년) - 일본의 소설가. '만파식적', '만세전' 등의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.
- 일리어스 카네티 (1981년) - 불가리아계 영국 작가. '군중' 등의 저작으로 유명합니다.
- 모리스 카르므 (1957년) - 프랑스의 시인이자 소설가. '바다로 보내는 편지', '광야' 등의 작품이 있습니다.
- 헤르만 헤세 (1946년) - 독일-스위스의 소설가. '데미안', '수트타의 마지막 여름' 등의 대표작이 있습니다.
- 알베르 카뮈 (1957년) - 프랑스의 소설가, 철학자
- 장 폴 사르트르 (1964년) - 프랑스의 철학자, 작가
'📁One Book, One Acti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독서모임 | 채식주의자(by.한강) 발제문 (3) | 2024.11.30 |
---|---|
한강 작가가 수상한 멘부커상은 어떤상일까요? (5) | 2024.11.12 |
누구나 진정으로 해야하는 일은 오직하나. 데미안(by 헤르만헤세) (0) | 2024.02.11 |
생각이란 우리가 그대로 살아가는 것만 가치 있는거야. 데미안(by 헤르만해세) (0) | 2024.02.10 |
인간 내면이 만들어낸 공포에 대한 이야기. 렉싱턴의 유령(by 무라카미 하루키) (0) | 2023.06.17 |
댓글